✅ PSA (Portable Service Abstraction) 이전 포스팅에서 UserDao와 인터페이스인 ConnectionMaker를 통해 IoC/DI를 구현하였습니다. 여기서 인터페이스란, 추상화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각 기술의 공통점을 담아 확장성을 용이하게 해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이번에 학습할 PSA란, 직역하자면 '일관성있는 서비스 추상화' 입니다. 환경과 세부 기술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 PSA를 설명하기 좋은 예시 중 하나인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상황 설정과 코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. [ 트랜잭션이란? ] PSA에 대해 학습하기 전, 트랜잭션이란 간단하게 알고 넘어가겠습니다. 트랜잭션이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단위 작업을 ..